이예(李藝). 조선 전기의 관원(외교관). 본관은 학성(鶴城). 아호는 학파(鶴坡). 시호는 충숙(忠肅). 학성이씨 시조. 1373년(공민왕 22) 울산에서 태어나 1445년(세종27) 2월 향년 73세로 세상을 떠났다. 이예의 부친과 조부에 대해서는 알 수 없다.

다만 학성이씨 문중에서 '고려말 왕조 교체기에 불사이군의 절개를 지키다 조선 왕조의 미움을 샀던 사대부 신분'으로 전승돼 오고 있다.

1380년(고려 우왕6) 울산군에 왜구가 침입했다. 이 때 이예의 모친도 왜구의 포로로 끌려갔다. 당시 부친이 생존했었는지의 여부는 알 수 없다.

이예는 중인계급에 속하는 아전으로 관리생활을 시작했다. 아전은 조선시대 중앙과 지방의 관아에서 일선 행정의 실무를 맡은 하급관리이다. 조선왕조실록에 '이예는 울산의 향리(蔚山群吏)이며, 직책은 기관(記官, 일선 행정기록을 맡은 지방 관아의 직책)이었다'고 기록돼 있다. 이예는 그후 종2품인 동지중추원사의 자리까지 올랐다.

충숙공 이예는 조선의 대일 외교에서 가장 큰 역할을 담당했던 독보적 인물이다. 근세 이전 민간의 국제교류는 극히 제한적이었다. 따라서 임금이 파견하는 공식 사행은 정치·외교적 기능은 물론 문화의 국제교류에 있어서도 거의 유일한 창구였다. 문학, 예술, 농업기술, 광업기술, 무기, 음식 등의 문화교류도 사행을 통해 이뤄졌다.

조선 전후기에 걸쳐 일본국왕에게 파견된 사행(私行)은 모두 30회이다. 이예는 이중 6회의 사행에 참여했다. 또한 통신사란 명칭이 최초로 사용된 사행에도 참여했다. 조선 전기 200년간 대마도, 일기도, 유구국에 대한 사행은 40회였다. 이예는 이중 7회의 사행에 참여했다.

왕조실록을 보면 이예에 대한 세종의 신뢰가 얼마나 깊었는지를 알 수 있다. 실록에는 왕이 "모르는 사람은 보낼 수 없어서 그대를 명하여 보내는 것이니, 귀찮다 생각지 말라"며 이예를 보냈다고 기록돼 있다.

1396년(태조5) 12월. 이예의 나이 24세가 되던 해이다. 왜적 비구로고 등이 3천 명의 군사를 이끌고 침입해 와 울산군수 이은(李殷) 등을 사로 잡아갔다. 이때 울산의 관리들은 모두 도망해 숨었다. 그러나 아전 신분의 이예는 숨지 않았다. 오히려 해적의 배를 바다 가운데까지 뒤쫓아 가서 군수와 같은 배에 타기를 청하였다. 해적이 그의 용기에 감복하여 승선을 허락했다. 대마도에 이르렀을 때 왜적이 군수 일행을 죽이기로 했다. 그런데 이예가 아전으로서 예의를 다하여 변함없이 군수를 모시는 것이 아닌가. 왜적은 그 모습에 진실로 감동해 죽이는 일을 포기했다. 그 대신 군수 일행을 대마도의 화전포에다 억류했다. 후일 조선에서 파견한 통신사의 중재로 1397년 2월 이예는 군수와 함께 무사히 조선으로 돌아왔다.

조정에서는 이예의 충성을 가상히 여겨 아전의 역(役)을 면제하고 벼슬을 주었다. 당시 그 벼슬이 어떤 직책이었으며, 어떤 품계였는지에 대해서는 기록이 없다. 아무튼 이 사건을 계기로 이예는 중인 계층의 아전 신분에서 벗어나 사대부 양반으로서의 전문 외교관의 길을 걷게 된다.

1400년(태종 즉위년) 이예는 조정에 청해 회례사(回禮使) 윤명(尹銘)의 수행원으로 대마도에 갔다. 왜구에 포로로 잡혀간 어머니를 찾기 위해서였다. 그러나 대마도 부근 일기도의 집들을 샅샅이 뒤졌으나 끝내 찾지 못했다. 1401년(태종1) 이예는 외교관으로서 공식 사행에 처음으로 참여했다. 임금의 명에 따라 보병사로서 일기도에 파견이 된 것이다.

조선 전기 일본에 파견되는 사절단은 그 파견 목적에 따라 통신사 외에 선물에 대한 답례를 하는 회례사, 방문에 대한 답방을 뜻하는 보빙사 등으로 구분돼 있었다.

1406년(태종6) 이예는 두번째 사행에 나섰다. 일기도의 첫 사행과 달리 일본국왕에게 파견되는 것으로 의미가 아주 큰 사행이었다. 사절단의 정사로서 그 명칭은 회례관이었다. 이예는 이 사행에서 조선 포로 70여명을 구출해 돌아왔다.

1408년(태종8) 이예는 통신부사로서 세번째 사행에 참여했다. 그러나 해상에서 폭풍을 만나 일본 혼슈의 서남부 해안에 위치한 석견주에 표류하여 사경에 이르렀다. 이런 이예를 구출, 무사히 귀국시켜 준 사람이 대내전이라는 일본의 귀족이었다.

훗날 세종이 이 사실을 알고 이예로 하여금 곡식과 표범가죽, 호랑이 가죽, 포목, 화문석 등의 선물로 감사의 표시를 전하도록 했다.

1416년(태종16) 이예는 유구국에 대한 마지막 사행에 나섰다. 태종이 "왜에게 포로가 된 조선인 중 유구국으로 팔려간 자가 많다"는 말을 듣고, 이예를 유구국으로 파견했던 것이다. 이예는 조선 포로 44인을 구출해 돌아왔다. 1422년, 1424년, 1428년에는 각각 회례부사(回禮副使), 통신사 등으로 일본에 다녀왔다.

1432년(세종14년) 이예는 60세의 나이에 회례정사(回禮正使)가 되어 일본국왕에게 파견됐다. 돌아오는 길에 해적을 만나 가진 물건을 모두 뺏기고 천신만고 끝에 생환했다. 그러나 함께 간 회례부사 김구경이 "이예가 개인적으로 무역을 하였다"고 세종에게 상소했다. 이 일로 한때 논란이 있었으나 이내 누명을 벗었다.

1443년(세종 25) 이예는 71세의 노구로 체찰사가 되어 대마도에 파견됐다. 이예로서는 마지막 사행이었다. 포로 7인과 도적질한 왜인 15인을 생포해서 돌아왔다. 이예는 이 공으로 동지중추원사(종2품)의 자리에 올랐다.

이예는 전후 40여회 일본과 대마도 등지를 왕래하면서 667명의 조선인 포로를 구출해 돌아왔다. 외교협상 역량과 뜨거운 애족의 마음이 없었다면 이러한 업적을 세우기는 어려웠을 것이다.

왕조실록에 다음과 같이 전한다. "왜국에 사명으로 가기가 무릇 40여 차례였다" 그러니까 43년간 40여회 일본을 왕래, 거의 평균 1년에 한번 꼴로 일본을 다녀온 것이다.

이예는 통신사 활동을 통해 한일 문화교류 면에서도 커다란 업적을 남겼다. 사행을 통해 시문, 필담, 회화, 음악, 무용뿐 아니라 농업기술, 광업기술, 무기, 음식 등에 있어서도 광범위한 문화교류를 펼쳤다.

'특히 대장경 및 불경의 사급(賜給)을 통한 불교의 인쇄문화의 전파, 일본식 자전 물레방아의 도입, 화폐의 광범위한 사용, 사탕수수의 재배와 보급에 대해 건의했다. 또한 민간에 의한 광물채취 자유화와 이에 대한 과세, 화통 및 완구의 재료를 동철에서 무쇠로 변경, 외국 조선기술의 도입 등을 건의했다. 이밖에 사행의 접대를 통해 음식문화와 일상 생활문화의 교류도 이끌었다'(2005년 문광부 선정 '2월의 문화인물')

이러한 이예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충숙공이예선양회는 지난 2월15일 울주군 웅촌면 석천리 석계서원(울산시문화재자료 제17호)과 용원서원에서 이예 충수공의 초상화봉안식을 가졌다. 또한 통신사가 된 그의 아들 이종실의 업적을 다룬 '울산의 부자통신사'(이병직 저), '이예의 사명'(이명훈 저)의 출판기념회도 열렸다. 오는 11월20일 일본 나가사키현 대마시에서는 이예 공적비 제막식이 열린다.

이예는 유고로 '학파실기'를 남겼으며, 석계서원에서 매년 음력 9월9일 유림들이 시조 향사를 지내고 있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